초기 언어습득단계에서 언어 이해력이 표현력 보다 먼저 발달하게 된다.
언어 이해력의 발달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진행된다.
■ 언어 이해력 발달
1. 1단계 : 말소리 및 초분절적 특성에 대한 변별기 (0~10개월)
1) 0~2개월 : 음소 변별(낱말을 습득하는 기초능력), 음의 높이 변별 (억양을 구분하는 기초 능력)
2) 2~4개월 : 목소리 변별, 친숙한-낯선 목소리, 화난-다정한 목소리, 남-녀 목소리 구분
3) 6~8개월 : 억양 패턴을 변별하기도 하고 그 패턴을 목소리로 모방하기도 함.
4) 8~10개월 : 친숙한 음소-억양 패턴을 구분
2. 2단계: 어휘-의미적 이해기 (10~30개월)
1) 초기 : 친숙한 낱말이나 간단한 문장에 대해 단서로 이해, 단서는 화자의 비구어적 단서 (예: 얼굴표정, 눈길
등), 상황적 단서 (예: 크레파스를 끼우면서 하는 말은 '끼우자', '치우자'로 이해하는 것), 초분절적 단서
(목소리크기, 문장끝 올림 내림세 등)
2) 12개월 : 단서 없이 단단어를 이해하는 수준으로 발달
3) 16~18개월 : 단단어 이해능력은 차츰 다단어 문장의 이해능력으로 확대, 간단한 지시 및 문장에 나타나는
의미들의 관계를 이해
4) 2세 : 자주 사용되는 문장이해 전략은 실현 가능성 전략으로 자신의 경험에 비추어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되는 대로 이해하는 것
3. 제 3단계: 구문-문법적 이해기 (30~36개월)
어순 전략으로 문장이해, 문장 내 포함된 문법형태소나 구문구조, 낱말 배열 순서 등에 의존하여 문장을 이해
■아동의 초기 낱말습득 원리
1. 참조원리 : 사물은 각기 다른 이름이 있으며, 두 가지 사물이 한 이름을 가질 수 없다고 가정
예를 들면 빵과 우유가 있을 때 '빵'이라는 이름을 말하면 둘 중 하나는 빵이고 나머지는 그렇지 않다고 생각하게 된다.
2. 확장가능성 원리 : 한 사물에는 한 낱말이 사용된다를 원리를 사용하다 한 낱말이 비슷한 여러 개의 사물을 가리킬 수도 있다는 것을 알 게된다. 즉 하나의 이름이 여러 사물에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네모난 빵, 둥근 빵, 소시지 빵이 다 '빵'으로 불릴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3. 사물 전체 참조원리 : 사람들이 어떠한 낱말을 사용할 때 그 낱말은 사물 전체를 의미한다는 것을 알게 된다
예를 들면 '차'라고 할때 '차의 유리, 지붕, 문, 바퀴와 같은 부분이 아니라 차 전체를 의미한다는 것을 알 게 됨.
4. 관습성 가정 : 아동은 성인이 낱말을 말할 때 늘 일관성 있게 한다고 가정.
출처 : 아동언어장애의 진단 및 치료 (김영태 저)
'교육 > 언어발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언어발달 평가도구, 우리 아이 언어 능력 제대로 알기 (0) | 2025.02.17 |
---|---|
아기의 의사소통 행동 발달 (0) | 2022.04.14 |
아동의 언어습득 특징 (0) | 2022.04.11 |
유아기 상징놀이 발달 순서 (0) | 2022.04.07 |
우리말 자음체계표와 음소발달 (0) | 2022.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