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징놀이는 어떤 사물이나 행동을 다른 사물이나 행동으로 상징화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1. 탐험놀이 (약 9~10개월)
물건에 합당한 기능을 보여 주지는 못하지만 탐험하는 자세를 보이는 행동
2. 전상징기적 행동(약 11~13개월)
물건에 대한 기능적인 사용을 이해하여 그것을 행동으로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 전화기를 들어 귀에 가져간다
: 빗자루로 마루를 쓴다
3. 자동적 상징행동 (약 14~15개월)
자신의 몸을 중심으로 하는 상징행동으로 행동의 대상이 자신에게만 집중된다
: 빈 병을 들어서 마시는 흉내는 낸다
: 접시를 들고 먹는 흉내를 낸다
: 곰 인형을 안고 뽀뽀한다
4. 단순 상징행동 (약 16~17개월)
자신의 신체에만 국한하지 않고 다른 대상(사람이나 사물)에게도 행하는 놀이형태이다.
(1) 인형이나 다른 대상에게 상징행동을 보인다
: 인형에게 우유 먹이는 흉내를 낸다
: 곰 인형을 잠자리에 눕히는 흉내를 낸다.
(2) 다른 사람이나 물체의 흉내를 낸다
: 신문 읽는 흉내를 낸다 (아빠 흉내)
: 고양이 인형을 집어 들고는 "야옹"한다 (고양이 흉내)
5. 단순 상징행동 조합(약 18~19개월)
한가지 단순한 상징행동을 둘이나 그 이상의 대상에게 반복하는 놀이형태이다.
: 마실 것을 엄마, 곰인형에게 차례로 주는 흉내
6. 복합 상징행동 조합(약 20~23개월)
연속적인 일련의 행동 속에 두 가지 이상의 상징행동을 나타내는 것이다
초기에는 두 가지 상징행동 조합이 나타나지만 후기에는 셋, 넷, 다섯가지의 상징행동들이 조합되어 나타난다.
: 국자로 냄비를 젖는다 -> 접시에 따른다 -> 인형에게 떠먹인다.
7. 물건대치 상징행동 (약 24~35개월)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사물을 다른 것으로 바꾸어서 하는 가상행동의 형태이다.
(1) 무의미 물건대치: 특정한 기능이 없는 물건으로 대치
: 블록을 다리미로 사용한다
(2) 비관습적인 물건대치 : 특정한 기능이 있는 물건으로 대치한다
: 빗을 비누로 사용한다
(3) 상상적 물건대치 : 빈손으로 마치 물건이 있는 듯이 흉내낸다
: 생일 케이크 촛불을 끄는 시늉을 한다 (아무것도 없을 때)
8. 대행자 놀이 (약 24~35개월)
인형이나 다른 사물을 행위자로 가장하거나 다른 사람의 역할을 가장하는 놀이 형태이다.
(1) 인형을 행위자로 사용: 인형을 살아 움직이는 생물체처럼 가장한다
: 우는 소리를 내며 인형이 우는 것 처럼 가장한다
: 인형이 걷거나 말하는 것 처럼 가장한다
(2) 자신이 타인의 역할을 흉내
: 엄마 구두신으며 "엄마 나갔다 올게"
(3) 상대방의 역할 : 애기나 행동을 하는 사람의 역할과 그에 반응하는 사람의 역할을 동시에보임
: 한 인형이 다른 인형에게 말을 하면, 다른 인형이 그에 맞게 반응한다
(4) 사회적 역할: 사회적 역할을 여러가지 행동을 통해 보인다
: 의사 인형이 다른 인형의 체온도 재고 주사도 놓는다.
(5) 무의미 물건으로 행위자 대치: 무의미 물건(예: 블록)이 행위자인 양 가장한다
: 블록을 "도깨비"라고 부르며, 도깨비가 곰 인형을 무섭게 하는 척 한다.
9. 두가지 사회적 역할놀이 (약 36~47개월)
(1) 두 사람이 의사소통 하는 것을 가장한다
: 엄마역할을 하는 인형에게 딸의 역할을 하는 인형이 적절하게 반응한다
(2) 사회적 지위를 나타내는 두 인형이 서로 의사소통하는 것으로 가장한다.
: 의사가 청진기로 환자를 검사하면 환자는 신음을 한다.
10. 세가지 사회적 역할놀이 (약 48~59개월)
세 인형 사이의 사회적인 역할을 보인다
: 의사는 환자를 진단하고 간호사는 의사의 말에 따라 환자를 대해주며 그에 맞게 환자도 반응한다
11. 복합적인 사회적 역할놀이 (약 60~72개월)
한 인형이 두 가지 이상의 사회적인 역할을 보인다
: 의사인형이 병원에서는 환자를 돌보고, 집에서는 아빠역할을 한다.
자료출처: 아동언어장애의 진단 및 치료 (저: 김영태)
'교육 > 언어발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기의 의사소통 행동 발달 (0) | 2022.04.14 |
---|---|
아기 언어 이해발달 (0) | 2022.04.14 |
아동의 언어습득 특징 (0) | 2022.04.11 |
우리말 자음체계표와 음소발달 (0) | 2022.04.05 |
아기 언어발달 단계 (0) | 2022.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