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제 1단계 : 음성발달기 (0~10개월)
말을 하기 위해서는 우선 소리(음성)내기가 이루어져야 하는데 언어습득과 가장 관련이 깊은 초기 음성은 옹알이(cooing)이다. 가장 초기형태는 모음과 비슷한 소리나 목울림소리들이다.
대략 2~3개월 정도 혼자소리를 내며, 어른이 소리내기를 따라하면 더 신이나서 소리유희를 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초기 옹알이는 6~8개월이 되면 차츰 음절에 가까운 소리로 변화하며, '마마마'와 같은 많은 양순음과 비음, 치조음 등이 모음과 섞여서 반복된 음절을 이루게 된다. 음성 발달기는 아동이 자신의 발성 및 조음기관을 탐험하고 조절하는 능력을 키워 나가는 중요한 시기이다.
(2) 제 2단계: 첫 낱말 발화기 (10~14개월)
첫 낱말을 사용하기 시작한다. 아동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며 남아는 여아에 비하여 다소 늦은 편이다. 초기 낱말은 흔히 특정 상황이나 문맥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손을 흔들며 "빠이빠이", 업히면서 "어부바"라고 한다.
일부 낱말들은 처음부터 융통성 있게 사용되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낱말들은 문맥 의존적인 특징을 보이다가 탈문맥적으로 발전한다. 탈문맥 과정에서 아동은 과대일반화나 과소일반화 현상을 보이는데, 이는 언어습득과정에서 나타나는 정상적인 오류형태이다. 과대일반화는 자신이 배운 낱말을 너무 넓은 범위까지 적용시켜서 사용하는 것으로 다리가 4개 있는 동물은 모두 "개"라고 부른다든지, 탈 것은 모두 "차"라고 부르는 경우이다. 과소일반화는 자신이 경험한 제한된 상황에서만 그 낱말을 사용하는 것으로 자기 집 강아지만 "개"고 다른 종류의 개는 "개"라고 하지 않는 것이다.
초기 낱말의 습득은 개인차가 크기는 하지만 매우 느린 편으로 일주일에 한 낱말 정도를 습득하게 된다. 또한 새로운 낱말을 습득할 때 계속 어휘가 축적되지 않고, 이전에 사용하던 낱말을 잊어버리는 경우가 많다
(3) 제 3단계: 어휘폭발기 (18~24개월)
이시기는 어휘 습득 속도가 빨라지는 시기이다. Bloom(1993)은 어휘폭발기는 적어도 일주일에 3낱말 이상 습득하게 되는 시기이며 평균적으로 생후 19개월 정도로 약 50낱말(34~75낱말)을 사용한다고 보고하였다.
아동이 단단어 표현어휘를 습득하는 과정에서 사용하는 전략들은 시도적 발화하기, 가설 확인하기, 질문하기, 선택적 모방하기 등이 보고되었다. 시도적 발화하기는 아동이 확실하지 않더라도 낱말을 사용해 보는 것을 말한다. 가설 확인하기는 낱말을 말하면서 끝을 올려서 상대에게 확인을 받는 경우이다. 질문하기는 "뭐?", "응?" 등의 질문형태를 사용하여 성인에게 낱말의 이름을 직접적으로 묻는 것이다. 선택적 모방하기는 성인의 말을 전체 혹은 부분을 따라 말하며 새 낱말을 습득하는 전략이다.
(4) 제 4단계: 문법으로의 전환기 (약 24개월 이후)
약 24개월 정도가 되면 단단어를 서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초기 문장이 발달한다. 이 시기는 단단어 발화에서 2낱말 발화로 가는 전환기이나 어순이나 억양패턴에 있어 일관성이 없이 불규칙하므로 아직 문법규칙이 습득되었다고 볼수 없는 시기이다. 초기에는 두개의 단단어를 연결만 해 놓은 듯한 형태로 두 낱말의 강세가 같다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연결된 단단어 발화의 형태들은 차츰 고정된 위치에 나타나는 낱말을 늘려 나가게 되어 좀 더 생산적인 문장 형태로 발전하게 된다.
(5) 제 5단계: 구문발달기 (약 36개월 이후)
표현할 수 있는 단단어의 어휘 수가 50개 남짓 되면 아동은 단단어들을 연결하여 문장의 형태를 만들기 시작한다. 처음에는 전환기에 나타나는 여러가지 불규칙한 형태의 문장들이 나타나다가 차츰 낱말과 낱말 간에 의미적인 관계가 있는 문장을 만들어 나가기 시작한다.
(자료출처: 아동언어장애의 진단 및 치료)
'교육 > 언어발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기의 의사소통 행동 발달 (0) | 2022.04.14 |
---|---|
아기 언어 이해발달 (0) | 2022.04.14 |
아동의 언어습득 특징 (0) | 2022.04.11 |
유아기 상징놀이 발달 순서 (0) | 2022.04.07 |
우리말 자음체계표와 음소발달 (0) | 2022.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