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의 말소리는 실재하는 음성과 추상적인 소리인 음소로 구성되어 있다. 음성은 음성학의 기본 단위로서 물리적인 단위로 실재하는 소리를 말하며 음성을 표기 할 때는 [ ] 기호를 사용한다. 음소는 음운론의 기본 단위로서 추상적으로 인식되는 소리로 음소는 / / 기호 안에 표기 한다.
자음은 조음방법, 조음위치로 나눌 수 있고 조음방법으로 파열음, 마찰음, 파찰음, 유음, 비음으로 구분된다.
조음위치로는 양순음, 치경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성문음으로 나눌 수 있다.
▶ 우리말 자음체계
구분 |
위치 |
||||||
양순음 | 치조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성문음 | |||
방법 |
무성음 |
파열음 | ㅂ ㅃ ㅍ |
ㄷ ㄸ ㅌ |
ㄱ ㄲ ㅋ |
||
마찰음 | ㅅ ㅆ |
ㅎ | |||||
파찰음 | ㅈ ㅉ ㅊ |
||||||
유성음 |
유음 | ㅁ | ㄴ | ㅇ | |||
비음 | ㄹ |
출처: 조음음운장애 치료 (저: 석동일 외)
김영태(1996)는 조음 위치 측면에서는 전반적으로 양순음이 가장 먼저 습득되고, 치조음, 연구개음, 성문음, 경구개음 순으로 나타났고 연령별로는 2~3세 때는 양순음과 치조음들이 습득 연령에 가장 많이 도달했으며 4세 때는 양순음과 치조음들 외에도 연구개음과 성문음들이 많이 도달하였고 5~6세 때는 경구개음들도 많이 도달하였다.
음소의 습득, 관습, 출현연령단계는 하기 표와 같다.
▶음소 발달 연령표
연령 | 완전습득연령 | 숙달연령 | 관습적 연령 | 출현 연령 |
2;00~2;11 | ㅍ, ㅁ, ㅇ | ㅂ, ㅃ, ㄴ, ㄷ, ㄸ, ㅌ, ㄱ, ㄲ, ㅋ, ㅎ | ㅈ. ㅉ, ㅊ | ㅅ, ㅆ |
3;00~3;11 | ㅂ, ㅃ, ㄸ, ㅌ | ㅈ, ㅉ,ㅊ, ㅆ | ㅅ | |
4;00~4;11 | ㄴ, ㄲ, ㄷ | ㅅ | ||
5;00~5;11 | ㄱ, ㅋ, ㅈ, ㅉ | ㄹ | ||
6;00~6;11 | ㅅ |
출처: 김영태(1996)
'교육 > 언어발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기의 의사소통 행동 발달 (0) | 2022.04.14 |
---|---|
아기 언어 이해발달 (0) | 2022.04.14 |
아동의 언어습득 특징 (0) | 2022.04.11 |
유아기 상징놀이 발달 순서 (0) | 2022.04.07 |
아기 언어발달 단계 (0) | 2022.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