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블로그는 제휴를 포함한 제3자 광고를 활용하며, 이에 따른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자폐범주장애 기능적 의사소통훈련
본문 바로가기
교육/자폐범주장애

자폐범주장애 기능적 의사소통훈련

by 열매사랑 ❤️ 2021. 12. 7.

자폐범주장애 언어재활 기능적 의사소통훈련 내용 정리하기

 

* 기능적 의사소통 훈련(functional communication training)이란?
문제행동과 동일한 기능을 가진 적절한 대체행동을 가르침으로써 문제 행동을 감소시키고자 개발한 것으로 긍정적 행동지원에 근거한 전략이다.

기능적 의사소통훈련은 행동에 있어서의 문제를 줄이기 위해 맨드(mand)의 개발을 목표로 하고 의사소통 기술들을 증진시키면서 문제행동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경험적으로 확인된다.

 

* 기능적 의사소통 훈련의 단계
1단계 : 문제행동의 기능을 밝히기 위하여 기능평가를 실시한다.
예) 아동이 의사소통하고자 하는 바가 무엇인가?

2단계: 문제행동과 같은 기능을 제공하면서 사회적으로 수용 가능한 의사소통 대체행동을 선정한다.

3단계: 의사소통 대체행동을 가르치되 새로 습득된 행동이 문제행동보다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확실하게 해야 한다.

 

* 기능적 의사소통 훈련사용의 고려사항

고려사항 설명
반응일치 (행동의 초기감소를 위함) 대체 의사소통 행동이 문제행동의 기능과 일치하는가?
반응완성
(초기감소, 일반화, 그리고 유지를 위함)
대체행동이 바람직한 결과를 얻는가?
다음을 고려함
(1) 반응 효율성: 새로운 행동은 문제행동보다 빠르고(효율성) 쉽게(효과성) 원하
                     는 결과를 얻어야함.
(2) 반응 수용성: 새로운 행동은 주변환경 안에서 다른 사람들이 받아들여야 함
(3) 반응 인식성: 새로운 행동은 친근한 사람이나 생소한 사람들이 쉽게 알아야함.
반응환경 대체행동은 다른 환경에서도 문제행동과 동등한 기능으로 작용할 수 있는가?
이러한 환경에서 학생이 선택할 수 있는 기회가 있는가?
문제행동에 대한 결과 반응 결과를 개별적으로 사용하고 있는가?
(예: 마치 문제행동이 일어나지 않은 것처럼 학생과 함께 과제를 계속함)
문제행동이 주변 환경 안에서 기능으로 작용하지 않는가?

<출처> adpted from durand & merges(2001), 곽승철 등(2014),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 교육의 실제, p.2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