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블로그는 제휴를 포함한 제3자 광고를 활용하며, 이에 따른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자폐범주장애 아동의 반향어
본문 바로가기
교육/자폐범주장애

자폐범주장애 아동의 반향어

by 열매사랑 ❤️ 2022. 4. 8.

반향어는 전에 들은 낱말이나 문장을 의도나 의미 없이 반복하는 현상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자동적이고 반사적이지만 다양한 양상을 띠기 때문에 반향어와 의도적 구어반복을 구별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발화를 뒤늦게 시작한 자폐성장애 아동은 대개 반향어로 시작한다.

자폐범주장애 아동에게서 흔히 발견되는 반향어의 형태는 즉각 반향어와 지연 반향어이다.

즉각 반향어는 대뇌과정을 거의 거치지 않고바로 반복되어 나온것이지만 지연 반향어는 일단 저장되었다가

어느 정도(몇분에서 며칠까지)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되어 표현된다.

 

즉각 반향어의 4가지 유형 및 기능 (Prizant, 1987;Prizant & Duchan, 1981)

 

1. 언어적 이해가 전혀 없이 비상호적으로 나타나는 반향어

: 대개 고통이나 분노를 느낄 때와 같을 때 많이 관찰, 자기자극적인 수단으로 사용

 

2. 언어적 이해가 전혀 없지만 상호적으로 나타나는 반향어

: 상호작용시 자신의 차례를 채우는 (turn-talking) 기능

3. 언어적 이해는 있지만 비상호적으로 나타나는 반향어

: 연습 및 자기통제 기능을 나타낸다.

 

4. 언어적 이해가 이루어지고 상호적으로 나타나는 반향어

: 서술, 예-대답 및 요구 등의 기능을 나타낸다

 

지연 반향어의 14가지 기능( Prizant& Rydell, 1984)

1. 비목적적 기능 : 아무 목적도 관찰되지 않으며 자기 자극적

 

2. 상황연상 기능 : 물체나 사람 또는 행동에 의해서 초래되는 반향어 (예: 칫솔을 보면, "잘 닦아라")

 

3. 연습 기능 : 언어적 형식을 갖춘 문장을 연습하듯 반복, 대개 낮고 작은소리로 연습

 

4. 자기 지시적 기능 : 대개 활동 하기 전이나 활동 하면서 사용, 자신의 행동을 통제하는 인지적 기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보임

 

5. 상호적 명명하기 기능 : 대개 제스처를 동반하여 활동이나 사물을 명명

 

6. 비상호적 명명하기 기능 : 행동이나 사물에 대해 명명, 상호적인 명명과 유사하지만 스스로에게 말하는 것 처럼 보이며 의사소통의도가 보이지 않음.

 

7. 순서 지키기 기능 : 교대로 말하는상황에서 자신의 구어순서를 채우는 기능, 의사소통 의도 관찰되지 않음

 

8. 발화 완성하기 기능 : 상대방에 의해 시작된 말에 반응하여 그 발화를 완성하는 기능

 

9. 정보 제공하기 기능 : 상대방에게 새로운 정보를 제공해 줌 (예: "동생이 아파요")

 

10. 부르기 기능 : 상대방의 주의를 끌거나 상호작용을 유지하려는 기능, 상대방이 쳐다보지 않으면 계속 부르는 경우가 많음

 

11. 수긍하기 기능 : 상대방의 말을 수긍하는 기능 (예: "장난감을 집어"하면서 장난감을 챙긴다)

 

12. 요구하기 기능 : 원하는 물건을 얻기 위하여 요구하는 기능, 대개 원하는 물건을 보면서 말하며 그 물건을 얻을 때까지 계속한다.

 

13. 저항하기 기능 : 다른 사람의 행동에 저항하는 기능을 갖는다.

 

14. 지시하기 기능 :  다른 사람의 행동을 지시하고 통제하는 기능을 갖는다(예: "하지 말랬지")

 

 

출처: 아동언어장애의 진단 및 치료(저: 김영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