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스펙트럼은 발달 장애의 하나로,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사소통 능력, 반복적인 행동 양상에 대한 제한적이고 증가된 흥미를 특징으로 한다. 자폐스펙트럼의 진단은 정확한 평가와 전문가의 판단이 필요하다.
아래는 "정신질환 및 행동 장애의 진단 및 통계 매뉴얼"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5)에 따른 주요 진단 기준이다.
A. 사회적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의 지속적 제약:
1. 사회적 - 감정적 상호작용에 어려움을 보인다. 대화에서 적절한 표현을 사용하지 않고 흥미나 감정 공유의 감소 특징을 보인다.
2. 사회적 상호작용을 위한 비언어적인 의사소통 행동의 결함이 나타난다. 예로 비정상적인 눈 맞춤과 몸짓언어, 몸짓의 이해와 사용의 결함, 얼굴표정과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전반적 결함을 보인다.
3. 친구, 동료 및 부모와의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사회적 상호작용이 제한적이거나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다.
B. 반복적이고 제한적인 행동, 관심, 활동 양상:
현재 또는 과거력상 다음 항목들 가운데 적어도 2가지 이상 나타난다.
1. 반복적인 운동성 동작, 물건 사용 또는 말하기 (예, 장난감 정렬하기, 반향언어증, 특이한 문구 사용 등)
2. 동일성에 대한 고집, 일상적인 것에 대한 융통성 없는 집착, 의례적인 언어나 비언어적 행동 양상이 관찰된다. (예, 작은 변화에 대한 극심한 고통, 변화의 어려움, 완고한 사고방식, 의례적인 인사, 같은 길로만 다니기, 매일 같은 음식 먹기, 특이한 물체에 대한 강한 애착 또는 집착, 과도하게 국한되거나 고집스러운 흥미 등)
3. 강도나 초점에 있어서 비정상적으로 극도로 제한되고 고정된 흥미 (예, 특이한 물체에 대한 강한 애착 또는 집착, 과도하게 국한되거나 고집스러운 흥미)
4. 감각정보에 대한 과잉 또는 과소반응, 환경의 감각영역에 대한 특이한 관심을 보인다. 예로 통증/ 온도에 대한 명백한 무관심, 특정 소리나 감촉에 대한 부정적 반응, 과도한 냄새 맡기 또는 물체 만지기, 빛이나 움직임에 대한 시각적 매료를 보인다.
C. 초기 발달기의 증상:
증상은 반드시 초기 발달시기부터 나타나야 한다. (그러나 사회적 요구가 개인의 제한된 능력을 넘어서기 전까지는 증상이 완전히 나타나지 않을 수 있고, 나중에는 학습된 전략에 의해 증상이 감춰질 수 있다.)
D. 현재 기능영역에서 뚜렷한 손상 초래:
이러한 증상은 사회적, 직업적, 또는 다른 중요한 현재의 기능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뚜렷한 손상을 초래한다.
자폐스펙트럼의 진단은 각 개인의 특성과 상황을 고려하여 꼼꼼한 평가와 전문가의 판단을 필요로 한다.
'교육 > 자폐범주장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폐범주장애 아동의 반향어 (0) | 2022.04.08 |
---|---|
자폐범주장애 기능적 의사소통훈련 (2) | 2021.12.07 |